AI로 인한 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전
최근 삼성전자 메모리연구소장은 2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리는 반도체 학회인 MENCON 2024에서 고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AI시대의 선도적인 HBM과 CXL혁신을 주제로 발표한다고 합니다. 또 언론에서 네오쎔과 삼성이 내달 CXL을 공개하고 삼성전자는 담대하게 투자한다고 천명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와 관련해서 국내 관련기업의 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네오쎔, 오킨스전자, 엑시콘 등 이 관련 기업으로 엮이면서 많이 오른 모습을 보입니다.
이와 같이 AI가 미래테크(현재인가?)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잡음으로써 관련 기술들이 급격하게 진보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오늘 또 새로운 용어(저한테는)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XL과 PCle의 차이점
우선 데스크탑 컴퓨터를 좀 아시는 분이라면 PCle의 개념을 아실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또 저와 같은 분은 PCle에 대해서도 잘 모르실 것 같은데요 쉽게 설명하면 PCle는 컴퓨터 부품과 데이터 전송을 위해 구성된 메인보드 인터페이스로, 그래픽카드, SSD, 사운드카드 등 다양한 확장 장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쉽에 이야기하면 데스크톱 기준으로 집에서 컴퓨터를 보시면 메인보드에 다양한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게 GPU(그래픽카드)를 꼽는 소켓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이와 같이 메인보드의 인터페이스를 PCle라 하며 현재 PCle 5.0이 최신 세대입니다. 세대 간 차이는 모 당연 장치 간의 데이터 속도라고 아시면 될 듯합니다.
1. CXL은 무엇인가?
CXL은 앞서 이야기한 PCle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표준을 말합니다. 모 그냥 PCle 이보다 더 빠르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듯합니다. COMPUTE EXPRESS LINK의 약자로,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성능과 확장성을 향상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CXL은 PCle 5.0을 기반하며, 고대역폭, 낮은 지연시간, 메모리 공유 등의 장점을 제공하는데요. CXL은 AI, 머신러닝 등 데이터 처리량이 많은 작업에 적합한 차세대 메모리 설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CXL과 Pcle의 주요 차이는?
CXL | PCle |
메모리 공유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 제공 | 단순 데이터 전송 및 장치 확장에 촛점 |
CPU와 메모리간 고속 연결로 데이타 처리량 많은 작업 적합 | 다양한 주변 장치와의 연결지원,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적합 |
PCle 5.0과 호환, CXL 2.0과 3.0 사양이 이미 발표 | PCle 6.0 사양 개발중 |
위와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만, 모 쉽에 이야기하면 많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PCle의 AI용 버전으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이제 집에서도 걸으면서도 어디서나 AI를...
가정용 PC가 막 도입 됐을 때가 기억이 나는데요. 처음 도스부터 윈도에 이르기까지 컴퓨터가 많은 변화가 있었고 우리의 생활에 컴퓨터 없는 생활은 상상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우리의 생활에 AI를 빼놓은 생활은 상상 할 수 없는 시대가 곧 올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노트북에 AI가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는 것으로 봐서는요.
'IT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2.19. AI 기업 이슈 정리 (0) | 2024.02.19 |
---|---|
AI반도체 시장 경쟁 돌입..엔비디아 장중 시총 3위 기염 (0) | 2024.02.14 |
OSMO MOBILE 6(오즈모 모바일 6) 사용 후기 (2) | 2024.02.13 |
설명절 연휴..스팀게임 할인 '용과같이7 빛과 어둠의 행방' 엔딩을 보자 (0) | 2024.02.08 |
단통법 폐지...통신사 노마드가 될 우리의 미래 모습 (1) | 2024.02.07 |